11월 242009
 

Week 11. Does consciousness cause behavior?


 


          ‘Emergence problem’ really matters, causality is not that big one –


 


Hunjae Lee (VCC Lab)


 


의식이 행동의 원인인지, 아니면 단지 행동의 부산물인지 묻는 것은 매우 도발적으로 들린다. 하지만 심리학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논해져 주제에 (eg; James-Lange theory, 1884, Self-perception theory by Bem, 1972), 최근의 생리학적, 뇌영상 자료를 더하게 되어 강력하게 의식이 행동 또는 활동의 부산물일 가능성이 논해지는 이라고 생각한다.


인과관계에 대해서 규명하려고 , 흔히 초점이 되는 것은 시간적 기준이다. , 의식적 사고가 실제 행동보다 시간적으로 선행하느냐 여부를 시간해상력이 좋은 EEG (Libet, 1983; Haggard and Eimer, 1999) MEG 이용하여 측정할 있다. 또한 fMRI연구에서는 의도에 주의를 기울였을 경우에 행동에 주의를 기울였을 경우보다 활성화가 크게 나타나는 뇌의 영역으로 Pre-supplementary motor area (Pre-SMA) 거듭 지적된다 (Lau, 2004a; 2005b).  TMS 이용하여 직접 dorsal prefrontal cortex 자극함으로써 자발적인 행동을 방해할 있었다는 결과도 있다. (Hadland et al, 2001)


시각과 의식 수업시간에 여러 지적됐듯 prefrontal cortex 우리의 의식경험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Pre-SMA, 그리고 다시 전두엽이 지적된다. 초기 단계에서부터 처리된 시각 정보를 비롯한 많은 감각 정보, 기억 정보들이 통합되는 작업장으로서 (Global workspace) 전두엽이 기능하는 같다 (Passingham, 2006). 따라서 우리가 일련의 행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에도 곳의 활성화가 발생할 것이다. 마치 상위처리단계로서 전두엽이 하지 않는 일을 찾기가 어려울 지경이다.


분명한 것은 같은 연구결과들은 결국 행동은 활동의 부산물이냐는 질문을 해결 해주지 못한다. 어떤 사건이 단지 어떤 사건보다 먼저 일어난다는 것은 인과관계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없다. 그러한 연구라면 최근에는 사람이 자신의 결정을 인식할 때보다 7초나 이전에 일어나는 뇌의 활동으로 사람의 결정을 예측할 있다는 결과도 있다 (Soon et al, 2008). 그렇다면 4 이전에 일어난 활동은 무엇일까, 다른 행동을 예측하는가? 인과관계를 정확히 논하기 위해서는 행동의 원인이 바로 활동 이외의 다른 것으로는 없다는 증거를 내세워야 한다. 알다시피 NCC 찾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NCC 들은 대개 우리의 행동이 활동과 수반한다 (supervenience) 생각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행동이 활동의 부산물이라는 주장은 섣불러 보인다.


따라서 질문보다는 오히려 창발성에 관한 질문이 필요하다. 만약 행동이 활동의 부산물이라면, 무엇이 활동을 일으키는가? 행동과 활동이 수반한다면 무엇이 활동을 일으키는 일까? 가장 쉬운 가설은 이렇다. 외부 환경의 변화, 그리고 그것을 우리가 감각기관으로 지각한 결과가 상향적 정보처리에 의해 처리된 어느 수준을 넘어설 , 자동으로 특정 활동이 발생, 행동(의식경험) 생긴다.


 


 


References


Passingham & Lau, (2006). Free Choice and the Human Brain.


Haggard & Eimer. (1999). On the relation between brain potentials and the awareness of voluntary movement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126, 128-133.


Lau et al. (2004a) Willed action and attention to the selection of action. Neuroimage, 21, 1407-1415. Lau et al. (2004b). Attention to intention. Science, 303, 1208-1210.


Lau, H. C. and R. E. Passingham (2007). Unconscious activation of the cognitive control system in the human prefrontal cortex. J Neurosci 27(21): 5805-11.


Libet, B., Gleason, C. A., Wright, E. W., and Pearl, D. K. (1983). Time of conscious intention to act in relation to onset of cerebral activity (readiness-potential). The unconscious initiation of a freely voluntary act. Brain, 106, 623-642.


Soon, C. S., Brass, M., Heinze, H. J., & Haynes, J. D. (2008). Unconscious determinants of free decisions in the human brain. Nature Neuroscience, 11, 543-545


James, William (1884). “What is Emotion”. Mind 9: 188–205.


Bem, D. J. (1972). Self-Perception Theory. In L. Berkowit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6, pp.1-62). New York: Academic Press.


K. A. Hadland , M. F. S. Rushworth , R. E. Passingham , M. Jahanshahi , J. C. Rothwell, Interference with Performance of a Response Selection Task that has no Working Memory Component: An rTMS Comparison of the Dorsolateral Prefrontal and Medial Frontal Cortex,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v.13 n.8, p.1097-1108

 Leave a Reply

You may use these HTML tags and attributes: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 <strike>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