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12008
 

Amy Needham
Research Summary:

I study questions in perceptual, motor and cognitive
development during infancy. My ongoing projects ask how feedback about
the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could entice infants to start
reaching, the instrumental use of objects and tools in infancy, and
object segregation in infancy. My overarching goals are to understand
the contributions of perceptual-motor learning on cognitive development
during the first two years of life.

Reaction paper 7. Needham & Ormsbee (?) 

긴 내용을 정리하면 8개월 정도가 되면, 아동은 물리적인 정보와 물체의 특징을 이용하여 물체를 분리해낼 수 있고 두 가지 정보가 모두 가용하며 충돌할 때에는 물리적인 정보를 우선하여 물체를 분리해낸다. 그런데 실린더-박스 실험의 경우, 보다 간단한 평면으로 제시했을 때에는 4.5개월 아동도 물체분리에 성공하는 것으로 보아 대상의 복잡한 정도에 따른 지각적 부담이 과제 수행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4개월 아동은 아마도 색 지각 능력 발달의 부족으로 인하여 모양을 최우선으로 물체를 분리해내며, 8개월 아동은 색에 과도하게 집중하여 물체를 분리해낸다. 그리고 이같은 물체 분리능력의 발달은 아동의 탐색 행동에 따른 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위로 쌓아올린 물체를 분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 등은 아동의 이전 경험이 물체분리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저자가 지적한 물체분리능력 발달의 3가지 요인은 적절하다. 하지만 아쉬운 것은 특정 시기 아동의 특정 분리과제 수행에 영향을 주는 원인이 이들 요인 중 정확히 어디에 기인하는 것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다. 많은 실험에서 아동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지 못하는 물체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스스로 지적하듯 side-by-side 물체가 함께 움직이는 경우는 아동의 현실에서 드물다. 세심한 실험통제에도 불구하고 보다 어린 아동은 학습 경험이 부족한 동시에, 신체적인 시지각 능력 역시 부족하기 때문에, 많은 경우 실험 결과가 해당 과제에 특정적인, 분리 지각 능력을 단순히 기술해주는 데 그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실험은 각 요인을 직접 조작하여 비교하고, 상호작용을 볼 수 있는 방향으로 설계될 필요가 있다. 예를들어 4.5개월, 6.5개월, 8개월, 12.5개월 아동의 stacked display 상의 분리과제 수행에서 보이는 차이의 경우에, 관찰학습이나 habituation 으로 stacked display 에서도 move-apart 가 되는 것을 아동에게 보여주고, 시간 경과에 따라서 (몇 분- 하루 이틀) 전혀 다른 물체이지만 stacked display 된 것을 테스트 한다면 결과가 달라지지 않을까? 이렇게 해서 달라진 결과는 학습 요인의 중요성을 더 부각시켜 줄 것이다.

앞서 언급한 색 지각 능력의 발달에 따른 차이 역시 흥미롭다. 우리는 똑같은 모양의 물체이지만 색깔이 다른 경우, 그 두 물체를 다른 것으로 잘 분리해낸다. 한편 한 물체의 각 부분이 설사 다른 색깔이어도 우리는 그 물체 전체가 하나라는 것을 잘 지각한다. 8개월 아동의 경우에 언어발달에서처럼 과도한 규칙적용 현상이 물체 분리과제시 색깔이나 패턴정보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12개월 이상의 아동은 다시 과도한 집중에서 벗어나 색깔이 현저하게 다르지만 연결되어 있는 물체를 애매하게 지각하여 분리하기도 하고, 분리하지 않기도 하는 반응을 보일까? (도서관 확장공사로 Ormsbee & Needham, 2003 을 찾아볼 수 없었다.) 또 8개월 아동에 대해서

O●

조건과 O● 조건 (색깔이 다른 두 공은 붙어있고 사각형 테두리도 공과 붙어있음)에서 한 공을 들어올릴 때 그 공만 따로 들어올려질 때와, 전체가 한번에 붙어서 움직일 때 반응을 본다면, 색깔과 모양(윤곽선)에 따라 아동이 물체를 어떻게 분리해내는지, 이 때 아동의 과도한 집중이 사라지는지도 궁금하다.

마지막으로 neural factor 에 관하여. 어린 아동에 대하여 뇌 영상장치를 이용하는 데에는 무리가 따른다. 하지만 Goodale & Milner, 1994에서 힌트를 얻어 연령별로 dorsal way(where/action) 와 ventral way(what/perception) 의 발달을 수행의 수준으로 가늠해볼 수 있지 않을까. 즉, 조약돌 집기 과제를 시키는 것인데, 아동의 조약돌을 집는 수행이 좋아진다면 dorsal way 가 발달해가고 있는 것이고, 조약돌의 모서리가 아닌 가운데를 빠르고 정확하게 집어내는 것이 가능해지면 ventral way 의 발달에 따라 지각 능력이 향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eave a Reply

You may use these HTML tags and attributes: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 <strike>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