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12004
 


告子曰, “性猶湍水也, 決諸東方則東流, 決諸西方則西流. 人性之無分於善不善也, 猶水之無分於東西也.” 孟子曰, “水信無分於東西, 無分於上下乎? 人性之善也, 猶水之就下也. 人無有不善, 水無有不下. 今夫水, 搏而躍之, 可使過顙, 激而行之, 可使在山. 是豈水之性哉? 其勢則然也. 人之可使爲不善, 其性亦猶是也.” (孟子, 告子 上)





湍水(단수): 소용돌이 치는 물.


고자왈, 성품은 소용돌이치는 물과 같다. 동쪽 방향으로 터주면 동쪽으로 흐르고 서쪽 방향으로 터주면 서쪽으로 흐른다. 사람의 성품이 착한 것과 착하지 않은 것의 구별이 없는 것은 마치 물이 동서의 방향이 없는 것과 같다. 맹자왈 물은 진실로 동서 구별은 없다. 그렇지만 물이 위아래도 없는가? 사람의 성품은 착하다. 마치 물이 아래로 흘러들어가는 것과 같다. 사람은 착하지 않은 바가 있지 않고 물은 아래가 있지 않은 게 없다. 지금 물을 쳐서 뛰게 하면 사람의 이마 위까지 올라갈수 있겠는가? 쳐서 가게 하면 산에 오르게 할수 있겠는가? 이것이 어찌 물의 성질 이겠는가. ..(뒤에 잘모름)



人之性惡, 其善者僞也. 今人之性,生而有好利焉, 順是, 故爭奪生而辭讓亡焉, 生而有疾惡焉, 順是, 故殘賊生而忠信亡焉, 生而有耳目之欲, 有好聲色焉, 順是, 故淫亂生而禮義文理亡焉. 然則從人之性, 順人之情, 必出於爭奪, 合於犯分亂理而歸於暴. 故必將有師法之化·禮義之道, 然後出於辭讓, 合於文理而歸於治. 用此觀之, 然則人之性惡明矣, 其善者僞也.




僞(위): 인위적으로 하는 것, 天性이 아니라 작위적으로 하는 것을 말함.


疾惡(질오): 질투하고 미워함.


殘賊(잔적): 남을 상하게 하고 해침.


文理(문리): 節文, 條理


犯分(범분): 분수를 어김.


化(화): 敎化.


道(도): 引導.



사람의 성품은 악하다. 그 착한 일을 하는 것은 인위적인 것이다. 지금 사람들의 성품은 나면서부터 이익을 좋아하는 것이었다. 이것을 따르기 때문에 다투어 생활하는 것이 생겨나지 사양하는 것은 없다. 날때부터 남을 질투하고 미워하는 마음이 있다. 이것을 따르기 때문에 잔적이 생겨나지 충, 신은 없다. 날 때부터 이목에 욕심이 있고, 좋은 소리, 미색을 좋아한다. 이것을 따르기 때문에 음란한 마음이 생겨나고 예의 문리는 없다. 그런 즉 사람의 성품을 따르고 사람의 정을 따라서 반드시 쟁탈하는 데서 출발해서 자신의 분수를 어기는 것에 해당하고 … (잘모름)



孟子曰, 人之學者, 其性善, 曰,是不然!是不及知人之性,而不察乎人之性僞之分者也. (荀子, 性惡說)


맹자가 말한 사람의 성품이 선하다는 것은 (불확실) 틀렸다! 사람의 성품을 잘 못 안것이다. ! 사람의 성품과 인위적인 것이 다름을 살피지 못해서



*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을 비교하여 인간의 본성에 대하여 논하여 보라.




————————————————————————————


題文衡山畵帖後跋



朴齊家



畵書之爲技 固小矣 儒者之棄而不道 亦非也 今人有見側面人物 而覓其一耳者 往往而是也 卽其眼中之物之 槩無別焉者 著矣 鑄菴公 儒而通乎技者也 所藏文衡山澗亭春水圖 一幅倂題一絶句者 雖其眞贋不可鑑定 而其胸中之邱壑 可想見矣 秋陽照室 展卷遊神 觀其花木之幽深 煙水之縈紆 新林嘉石之窈窕 與夫開樽拓窓之人焉 噫 安得與斯人共享此樂也 庚子中秋穀朝 葦杭道人跋


그림과 글씨는 기술이다. 정말로 하찮은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유학자가 버리고서 말하지 않는 것 또한 그른 것이다. 지금 사람들 가운데 측면 인물을 보고서 다른 한쪽 귀는 어디있는지 한귀를 찾는 자가 있으니 그러한 경우가 바로 이렇다. 즉, 그 안목의 실질적인 내용이 개략 특별한 것이 없다. 분명하다. (사람이름) 유자이면서 기술적인 것에 통해서 (아는) 사람이다. 소장한 문형산의 간정춘수도의 그림 한폭과 아울러 한수의 절구를 쓴 것. 비록 그 진우를 감정할 수가 없다더라도 그 가슴속의 자연의 모습은 가히 상상으로 그려 볼 수 있다. 가을 볕이 방을 비추면 화첩을 떨치고 정신을 노닐어봐라. 꽃과 나무가 그윽한 곳에 피어있고 안개가 낀 물이 돌아굽이흐르고 새로운 수풀에 아름다운 바위가 깊고 그윽하게 자리하고 있다. 술잔을 들고 창문을 여는 사람이 있다. 아! 어찌 이 사람과 즐거움을 누릴 수 있겠는가.



烈女香娘傳


尹光紹



烈女名香娘 嶺之善山人 自幼性行甚端潔 不從里中兒遊 人異之 年十六嫁 夫性甚悖 無夫婦道 罵辱日滿室 娘隱忍數年 終不能容 歸于父家 乃歲凶 饘粥乏繼 母朝夕叱曰 女旣嫁 何以累我爲 父曰 女何家不可居 乃自苦若是 父而諷更嫁之 娘誓斷髮毁形 猶未置也 又不能容


往依于叔 叔初頗撫育之 已而叔曰 汝何家不可居 乃自苦如此 叔而諷更嫁之 又不能容 復歸于舅家 舅曰 子悖甚 不可以敎 婦何家不可居 乃自苦若是 舅而諷更嫁之 又不能容


娘無所歸 乃仰天哭曰 豈不容於父母 又不容於夫家 命也 吾何以生爲 乃往洛東江下砥柱淵 將投以死 適有一採樵童女 執手謂曰 使女而男子 吾不可與汝言 使汝而年長 當止吾死 今汝好也 且幼而慧 可以傳吾言 不可止吾死 幸也


열녀명은 향랑이라, 영남의 선산사람이다. 어릴적부터 성품과 행동이 단정하고 깨끗했다. 마을의 아이들이 노는 걸 좇지 않았다. 나는 너를 특별하게 여긴다. 열 여섯 살에 시집을 가서 남편의 성질이 매우 나빠 부부의 도가 없었다. 욕이 집에 가득했는데 속으로 드러내지 않고서 수년을 참았다. 그리고 마침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 (잘 모르겟고 한참) 아버지가 말하길 어느 집을 간들 거할수 없겠는가. 이에 스스로 고생을 하여 이와 같이 하는가? 아버지가 이어서 개가하는 것은 …타일럿다. 그래서 절대로 마음을 두지 않기로 맹세했다. 그리고 또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얼마 안되서 ….(쭉 모름)


그리고 투신하여 죽으려고 했다……… 손을 잡고 말을 하길 만약 니가 남자였다면 내가 너와 함께 말할 수 없었다. 가령 니가 나이가 많았다면 죽지 않게 만류했다. 지금 너는 착하다, 게다가 어리고 똑똑하다. 가히 내 말은 전할 수 있을 것이다. 내 죽음을 막지 못할 것이니 다행이다.


————————————————————————————

<山有花女歌>
                                
                                                     崔成大


砥柱採薪女  지주비의 나무하는 저 처녀들
哀歌山有花  서럽게 산유화 노래 부르네.
不識女娘面  향랑의 얼굴은 알지도 못하지만
猶唱女娘歌  오히려 향랑의 노래 부르네.
儂是落同女  “우리들은 모두같이 낙동처년데
落同是娘家  낙동엔 향랑 색시 집이 있어요.
娘有羣姉妹  향랑에겐 여러 자매 있었지만
父母最娘憐  부모님은 향랑 제일 예뻐하셨죠.
少小養深屋  어려서는 깊은 방서 기르시고
不敎出門前  문 밖에 못나가게 가르치셨죠.
八歲照明鏡  여덟살에 거울에 비추어보니
雙眉柳葉綠  두 눈썹은 버들잎처럼 푸르렀고
十歲摘春桑  열 살에 푸른 뽕나무 따고
十五已能織  열 다섯에 이미 베를 짰죠.”
父母每誇道  부모님 늘상 자랑하시길,
阿女顔色好  “우리 딸 예쁘기도 하지.”
願嫁賢夫婿  착한 사위에게 시집 보내
同閈見偕老  한 동네서 같이 살기 원했죠.
常恐別親去  친정과 떨어지는 걱정만했지
不解婦人苦  아내되는 고통 알지 못했죠.
十七着繡裳  열일곱에 수놓은 치마 입고
蟬鬂加意掃  비단 머리 신경써서 빗어 넘기니
有媒來報喜  중매자 와서 기쁜 소식 알리길
善男顔花似  “꽃같이 잘생긴 신랑이
袴上繡裲襠  바지 위엔 수놓은 배자를 입고
足下絲文履  발엔 실로 수놓은 신발을 신고서
自言不惜財  재물 아끼지 않으며
但願女賢美  다만 어질고 예쁜 색시 원한데요.
牛羊滿谷口  소와 양 골짜기에 가득하고
綾錦光篋裏  비단은 상자에서 빛을 낸데요.”
阿父喚母語  아버지는 어머니께 말씀하시길
涓吉要嫁女  “택일해 우리 딸 시집보냅시다.”


——————————————————————————–


推句




家貧思賢妻 國難思良相



春水滿四澤夏雲多奇峰



秋月揚明輝冬嶺秀孤松



無足蛇能走有口鳥未言



雲作千層峰·虹爲百尺橋



秋葉霜前落春花雨後紅



世事琴三尺生涯酒一盃



月出天開眼山高地擧頭



掬水月在手弄花香滿衣



花有重開日人無更少年



花笑聲未聽鳥啼淚難看



鳥逐花間蝶鷄爭草裡蟲



水鳥浮還沒山雲斷復連



明月松間照淸泉石上流



蟋蟀鳴洞房梧桐落金井



花開昨夜雨 花落今朝風



大旱得甘雨他鄕逢故人



畵虎難畵骨知人未知心



鳥宿池邊樹僧敲月下門



—————————————————————————–

<한시 몇개>



*내용상 분류


1)喜怒哀樂 등의 감정 표출


日入投孤店 山深不掩扉 鷄鳴問前路 黃葉向人飛-道中,권필.


(해 저물어 외딴 주막에 자러 들어가니 산 속 깊은 곳이라 사립문 닫지 않는다네. 닭울어 갈길을 묻는데 누런 잎만 내 앞에 이리저리 날아오네.)



那招月老訴冥府 來世夫妻易地爲 我死君生千里外 使君知我此心悲-配所挽妻喪,김정희


(어떻게 월로 불러 명부에 호소하여 내세에는 부부가 바꾸어 태어날까. 내가 죽고 그대는 천리 밖에 살아 그대에게 이 슬픔 알게 하리라.)




山北山南細路分 松花含雨落繽紛 道人汲井歸茅舍 一帶靑烟染白雲


(산 앞뒤로 난 오솔길 나뉘는 곳에 송화는 비를 맞아 우수수 떨어지네 도인은 물을 길이 띠집으로 돌아가는데 일대의 푸른 연기 흰 구름을 물들이네.)-題僧舍, 李崇仁



蕭蕭落木聲 錯認爲疎雨 呼僧出門看 月掛溪南樹


<山寺夜吟>, 鄭澈











————————————————————————————-


선비 정신



이덕무




〇 一古一今 大瞬大息 一瞬一息 小古小今 瞬息之積 居然爲古今 又昨日今日明日 輪遞萬億 新新不已 生於此中 老於此中 故君子着念此三日


모든 옛날과 모든 지금은 크게 보면 순식간이다. 한 순간 한 순간이 작게는 옛날이고 작게는 현재이다. 순식간들이 쌓여서 어느 새 옛날과 지금이 된다.


또 어제와 오늘과 내일이 바퀴돌 듯 돌고 돌아서 만과 억이 된다. 매일매일이 새로운 것이 끝이 없다. 이러한 가운데 태어나서 이러한 가운데 늙어간다. 그렇기 때문에 군자는 이 삼일에 마음을 쏟는다.



〇 讀書怡神爲上 其次受容 其次淹博


독서는 정신을 기쁘게 하는 것이 최상이다. 그 다음은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 다음이 학식을 넓히는 것이다.



〇 處事貴通 讀書貴活


일을 처리하는데 있어서는 통하는 것을 귀하게 여겨라. 독서는 “활”을 귀히 여겨라.



〇 多讀書而少思量 簡言語而沒趣味 是虛名寄乎多字簡字上


책을 많이 읽되 생각을 적게하고 말은 간략하게 하되 취미가 없다면 이것은 헛된 명성을 다자 간자 위에 붙이는 것이다.



〇 往在庚辰辛巳冬 余小茅茨太冷 噓氣蟠成氷花 衾領簌簌有聲 以余懶性 夜半起 倉卒以漢書一帙 鱗次加於衾上 少抵寒威 非此幾爲后山之鬼 昨夜屋西北隅 毒風射入 掀燈甚急 思移時 抽魯論一卷立障之 自詑其經濟手段 古人以蘆花爲衾是好奇 又有以金銀鏤禽獸瑞應爲屛者太侈 不足慕也 何如我漢書衾魯論屛 造次必於經史者乎 亦勝於王章之臥牛衣 杜甫之設馬韀也 乙酉冬十一月二十有八日記


지난 경진년 신사년 겨울에 나의 작은 띠로 지붕을 이은집이 너무 냉냉하여 기를 불면 성에가 만들어졌다. 이불 깃에서 소리가 나서 게으른 성품을 가지고 한밤에 일어났다. 갑자기 한서 한권을 가지고 물고기 처럼 이어 이불을 만들었다. 그걸로 얼마간 한기를 막으니 이게 아니었다면 귀신이 될 뻔 했다. 어젯밤 지붕 서북쪽 모퉁이에서 독풍이 쏠듯이 들어와 매달린 등이 심히 흔들렸다. 생각하고 조금 있다가 노나라 논어 한권을 뽑아 세워…




茅: 모, 띠


茨: 자, 지붕을 이다.噓: 허, 불다.


蟠: 반, 쌓다, 서리다.


領: 영, 옷깃


懶: 라, 게으르다.


抵: 저, 막다.


掀: 흔, 치켜들다, 높이 솟은 모양.


抽: 추, 뽑다.


鏤: 루, 새기다.


韉: 천, 안치(안장 밑에 까는 깔개)

 Leave a Reply

You may use these HTML tags and attributes: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 <strike> <strong>